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

True satisfaction is knowing that your research at GIST will make a world of difference

연구지원

[동향 / 미래부] 2015년도 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보고

  • 이승윤
  • 등록일 : 2016.06.22
  • 조회수 : 2234

2015년도 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보고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 총 18조 8,747억원 투자
전년대비 7.0%증가, 중소기업, 여성 및 지방지원 증가


- 기초 연구 및 지방여성신진연구자중소기업에 대한 연구지원 증가

- 기계, 정보/통신, 전기/전자, 보건으료 순, 융복합 연구 2.3조            

- 35개 부처 총 54,433개 연구과제 지원, 3.5억원/과제당                      



미래부는 제2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결과(안)을 보고하였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심의 결과를 반영하여 6월말에 상세 통계집을 포함한 보고서로 발간 예정이며,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나 국가 통계포털(KOSIS)을 통해서 제공 될 예정입니다. 2015년도 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보고에 관한 요약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주요결과 전년대비 비교

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주요결과 전년대비 비교 표. 구분, 2014년도, 2015년도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 표. 내용은 항목순, 총 투자 현황, ⦁605개 사업, 53,493개 과제 ⦁17조 6,395억원, ⦁639개 사업, 54,433개 과제 ⦁18조 8,747억원 | 적용분야별 투자 현황, ⦁공공분야 : 11조 6,043억원(65.8%) ⦁산업분야 :  6조 352억원(34.2%), ⦁공공분야 : 12조 3,421억원(65.4%) ⦁산업분야 :  6조 5,326억원(34.6%) | 연구개발 단계별 투자 현황, ⦁기초연구 : 4조 4,528억원(36.3%) ⦁응용연구 : 2조 7,357억원(22.3%) ⦁개발연구 : 5조   921,원(41.5%), ⦁기초연구 : 4조 8,955억원(36.6%) ⦁응용연구 : 2조 6,225억원(19.6%) ⦁개발연구 : 5조 8,471억원(43.7%) | 연구수행 주체별 투자 현황, ⦁출연연구소  : 7조 4,962억원 (42.5%) ⦁대학        : 4조 1,023억원 (23.3%) ⦁중소기업    : 2조 4,150억원  13.7%) ⦁국공립연구소:     8,791억원 ( 5.0%) ⦁대기업      :     6,923억원 ( 3.9%) ⦁중견기업    :     5,437억원 ( 3.1%) ⦁정부부처    :     4,473억원 ( 2.5%) ⦁기타        : 1조  635억원 ( 6.0%), ⦁출연연구소  : 7조 8,235억원 (41.4%) ⦁대학        : 4조 2,617억원 22.6%) ⦁중소기업    : 2조 7,902억원 (14.8%) ⦁국공립연구소:     9,579억원 (5.1%) ⦁대기업      :    6,278억원 (3.3%)  ⦁중견기업    :     6,130억원 (3.2%) ⦁정부부처    :     6,181억원 (3.3%) ⦁기타       : 1조 1,825억원 (6.3%) | 지역별 투자 현황, ⦁수도권 : 6조 ,744억원 (40.2%) ⦁대  전 : 4조 9,823억원 (29.5%) ⦁지  방 : 5조 1,083억원 (30.3%), ⦁수도권 : 6조 6,771억원 (36.7%) ⦁대  전 : 5조 4,584억원 (30.0%) ⦁지  방 : 6조   452억원 (33.3%)| 기술분류별 투자 현황, ⦁과학기술표준분류 상위 5개 분야 비중  - 기계(14.6%), 정보/통신(10.9%),   전기/전자(10.4%), 보건의료(8.0%),  농림수산식품(6.8%)  ⦁미래유망신기술(6T) 비중  - IT(18.4%), BT(18.2%), ET(15.1%), ST(4.7%), NT(4.5%), CT(0.9%)    ※ 기타(6T외) : 38.1%, ⦁과학기술표준분류 상위 5개 분야 비중  - 기계(16.4%), 정보/통신(10.3%),   전기/전자(9.7%), 보건의료(8.7%),   농림수산식품(6.9%)  ⦁미래유망신기술(6T) 비중  - IT(19.0%), BT(18.8%), ET(13.7%), ST(6.1%), NT(4.5%), CT(1.0%)    ※ 기타(6T외) : 36.8% | 연구책임자 현황, ⦁총 연구책임자: 32,881명  - 남성 : 28,564명 (86.9%) 여성 :  4,317명 (13.1%)  박사 : 22,745명 (69.2%), ⦁총 연구책임자: 34,145명  - 남성 : 29,309명 (85.8%)    여성 :  4,836명 (14.2%) 박사 : 24,194명 (70.9%).


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안) 요약

□ 총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 2015년도 총 투자액 18.9조원(’14년도 17.6조원 대비 7.0% 증가) - 투자계획 18.9조원(예산 16.9조원, 기금 2조원) 대비 미집행액(예산미배정, 불용 등) 0.01조원(153억원)을 제외한 18.9조원(99.9%) 집행   ※ 최근 5년간(’11~’15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액은 연평균 6.2% 신장하였으며 통합재정규모의 연평균 증가율(5.3%)보다 약 1.2배 높음 [그림 ]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액과 세부과제 수 추이, 2011-2015년(최근 5년간(’11~’15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액은 연평균 6.2% 신장하였으며 통합재정규모의 연평균 증가율(5.3%)보다 약 1.2배 높음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  ○ 부처별 투자  - 미래부(6.5조원, 34.3%), 산업부(3.4조원, 18.2%), 방사청(2.5조원, 13.0%), 교육부(1.6조원, 8.7%), 중기청(0.99조원, 5.2%) 등 5개 부처가 79.4%(15.0조원) 차지 ※ 다부처 공동기획프로젝트인 ‘범부처’ 분야 투자액(범부처신약개발, 나노융합2020, 골든시드프로젝트)은 3개 사업 309개 과제, 877억원(0.5%) 투자 ○ 연구비 규모별 투자 과제 1개당 연구비는 전체 조사분석 대상 세부과제가 분석대상임. 단 범부처사업(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나노융합2020 등)의 세부과제는 2012년까지 중복으로 산정 - 과제 1개당 연구비는 3.5억원으로 전년대비 5.2%(0.2억원) 증가 ※ ʼ15년 1억 미만 과제 수 비중(%): 국공립(연)(71.7), 대학(69.1), 대기업(13.6), 중견기업(14.7)  ʼ15년 3억 이상 과제 수 비중(%): 국공립(연)(8.1), 대학(9.5), 대기업(67.5) 중견기업(65.7)
○ 세부비목별 투자  - 직접비(10.8조원, 67.3%)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인건비(3.7조원, 22.9%), 간접비(1.3조원, 7.8%), 위탁연구비(0.3조원, 2.0%) 순  ☞ (현황분석) 대학은 인건비(27.8%)와 간접비(14.1%)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업은 직접비(중소기업: 71.2%, 중견기업: 83.1%, 대기업: 89.5%)가 대부분을 차지 □ 부문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 적용분야(공공‧산업) 투자  - 공공분야(12.3조원, 65.4%)가 산업분야(6.5조원, 34.6%)의 1.9배로 ’11년 이후 공공분야의 투자 비중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 ☞ (현황 분석) 최근 5년(’11~’15년)간 공공복지안전연구 등의 신규사업과 바이오헬스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분야 R&D투자가 본격화되면서 공공분야 투자비중이 점차 확대 [그림 2] 적용분야별 투자비중 추이, 2011-2015년(최근 5년(’11~’15년)간 공공복지안전연구 등의 신규사업과 바이오헬스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분야 R&D투자가 본격화되면서 공공분야 투자비중이 점차 확대 됨을 알 수 있는 공공, 산업 별 추이).  ○ 연구수행주체별 투자 - 출연연(7.8조원, 41.4%)이 가장 많고, 대학(4.3조원, 22.6%), 중소기업(2.8조원, 14.8%), 기타(1.2조원, 6.3%), 국공립(연)(1.0조원, 5.1%), 대기업(0.6조원, 3.3%) 등의 순임 [그림 3] 연구수행주체별 투자 추이, 2011-2015년(출연연(7.8조원, 41.4%)이 가장 많고, 대학(4.3조원, 22.6%), 중소기업(2.8조원, 14.8%), 기타(1.2조원, 6.3%), 국공립(연)(1.0조원, 5.1%), 대기업(0.6조원, 3.3%) 등의 투자 추이)
○ 연구개발단계별 투자  - 연구개발단계별로는 기초연구(4.9조원, 36.6%) 비중이 최근 5년간(’11~’15년) 증가 추세 ※ 기초연구 투자: ’11년 3.4조원(30.7%) → ’12년 3.7조원(33.8%) → ’13년 4.0조원(34.1%) → ’14년 4.5조원(36.3%) → ’15년 4.9조원(36.6%)  [그림 4]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추이, 2011-2015년( 기초연구(4.9조원, 36.6%) 비중이 최근 5년간(’11~’15년) 증가 추세 ※ 기초연구 투자: ’11년 3.4조원(30.7%) → ’12년 3.7조원(33.8%) → ’13년 4.0조원(34.1%) → ’14년 4.5조원(36.3%) → ’15년 4.9조원(36.6%))  ○ 지역별 투자  - 수도권(6.7조원, 36.7%), 지방(6.0조원, 33.3%), 대전(5.5조원, 30.0%) 순이며 17개 시·도별로는 대전, 서울(3.6조원, 20.1%), 경기(2.6조원, 14.4%) 등의 순임  ※ 지방 R&D 투자액 변화 추이: ’11년 4.0조원(27.9%) → ’12년 4.3조원(28.5%) → ’13년 4.6조원(28.5%) → ’14년 5.1조원(30.3%) → ’15년 6.0조원(33.3%) [그림 5] 지역별 투자비중 추이, 2011-2015년(- 수도권(6.7조원, 36.7%), 지방(6.0조원, 33.3%), 대전(5.5조원, 30.0%) 순이며 17개 시·도별로는 대전, 서울(3.6조원, 20.1%), 경기(2.6조원, 14.4%) 등의 순임  ※ 지방 R&D 투자액 변화 추이: ’11년 4.0조원(27.9%) → ’12년 4.3조원(28.5%) → ’13년 4.6조원(28.5%) → ’14년 5.1조원(30.3%) → ’15년 6.0조원(33.3%))

○ 기술분류별 투자 기술분류별 투자현황 분석은 ’15년도 전체 54,433개의 세부과제 중 인문사회 분야를 제외한 과학기술계열 연구개발사업과 국방(비밀 세부과제 포함) 분야의 47,005개의 세부과제(17조 5,199억원)가 분석대상임 - 과학기술표준분류별로는 기계(2.9조원, 16.4%), 정보/통신(1.8조원, 10.3%), 전기/전자(1.7조원, 9.7%), 보건의료(1.5조원, 8.7%) 등의 순임  - 미래유망신기술(6T) 분야로는 IT(3.3조원, 19.0%), BT(3.3조원, 18.8%), ET(2.4조원, 13.7%), ST(1.1조원, 6.1%) 등의 순임 [그림 6] 과학기술표준분류별 투자 비중, 2015년, [그림 7] 미래유망신기술(6T)별 투자비중, 2015년( 기계(2.9조원, 16.4%), 정보/통신(1.8조원, 10.3%), 전기/전자(1.7조원, 9.7%), 보건의료(1.5조원, 8.7%) 등의 순임  - 미래유망신기술(6T) 분야로는 IT(3.3조원, 19.0%), BT(3.3조원, 18.8%), ET(2.4조원, 13.7%), ST(1.1조원, 6.1%)).  - 국가전략기술별로는 미래성장동력 확충(4.5조원, 25.6%), ICT 융합 신산업 창출 분야(2.9조원, 16.8%), 건강장수시대 구현(1.3조원, 7.3%),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0.9조원, 5.0%) 등의 순임 [그림 8] 국가전략기술별 투자현황, 2014-2015년( IT(3.3조원, 19.0%), BT(3.3조원, 18.8%), ET(2.4조원, 13.7%), ST(1.1조원, 6.1%)).  - 국가전략기술별로는 미래성장동력 확충(4.5조원, 25.6%), ICT 융합 신산업 창출 분야(2.9조원, 16.8%), 건강장수시대 구현(1.3조원, 7.3%),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0.9조원, 5.0%))
○ 공동·위탁 연구과제 ’15년도 전체 54,433개 과제 중 인문사회 분야를 제외한 47,005개 세부과제를 대상으로 분석 - 공동연구(17,303건)와 위탁연구(5,474건)가 수행되었으며 공동연구는 기업(9,165건, 53.0%), 위탁연구는 대학(3,473건, 63.4%)이 가장 많이 수행 ※ 유형별 국내 공동연구 현황(’15년): 연구 기술개발(16,026건) > 기술이전 및 사업화(378건) > 기타(193건) > 인력양성(75건) > 장비 시설 공동이용(65건) > 정보네트워크(49건)  □ 연구책임자 현황 ’15년도 전체 54,433개 세부과제 중 인문사회와 국방(비밀 세부과제 포함) 분야를 제외한 46,415개 세부과제가 분석대상임 ○ 세부과제를 수행한 연구책임자는 총 34,145명이며 여성(4,836명, 14.2%) 연구책임자 비중이 증가 추세  -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는 전년대비 3.4%(0.14억원) 증가한 4.4억원으로 남성(4.75억원)이 여성(2.29억원)보다 약 2.1배 많음 ※ 여성 연구책임자 비중(%)  : ’11년 11.2 → ’12년 11.6 → ’13년 12.1 → ’14년 13.1 → ’15년 14.2 ☞ (현황 분석) ’15년 신진 연구자 신진 연구자는 만40세 이하 연구책임자로 정의하여 1인당 연구비 산출의 1인당 연구비(1.61억원)는 전체 연구책임자의 4.4억원의 36.5% 수준. 남성 신진연구자의 1인당 연구비는 1.75억원, 여성 신진 연구자의 1인당 연구비는 1.23억원으로 최근 5년간(’11~’15년) 성별 연구비의 격차가 축소 추세 ※ 남성 신진연구자 1인당 연구비(억원): ’11년 2.19 → ’13년 1.96 → ’15년 1.75  여성 신진연구자 1인당 연구비(억원): ’11년 1.00 → ’13년 0.99 → ’15년 1.23

콘텐츠담당 : 연구기획팀(T.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