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Excellence

이광희 교수팀, 세계 최고성능의 유기물 플라스틱 태양전지 개발

  • 임성훈
  • 등록일 : 2007.07.13
  • 조회수 : 5117

 

광주과기원 이광희 교수 연구팀

세계최고 성능 유기물 플라스틱 태양전지 개발

사이언스지 7월13일자에 연구 논문 소개

차세대 저가형 신재생 에너지 신기원 열어


광주과학기술원이 세계에서 가장 효율성이 높으면서도 제작공정이 간단한 ‘유기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개발에 성공해 국제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이는 국내연구진이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원천기술력을 갖게 됨을 뜻하는 것으로 향후 신개념의 저가형 태양전지 산업분야에서 시장 선점 및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 등을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 허성관) 이광희(李光熙, 47) 교수 연구팀은 간단한 제작공정만을 이용해 세계 최고 효율성을 가진 신개념의 적층형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개발에 성공했다. 이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과학기술 분야의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7월 13일자에 게재됐다.


사이언스지는 이광희 교수 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그 동안 플라스틱 태양전지 연구에서 가장 큰 난제였던 낮은 효율성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차세대 저가형 플라스틱 태양전지 상용화를 크게 앞당겼다고 평가했다.


이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태양전지는 태양전지의 성능평가의 기준이 되는 에너지 전환효율이 6.5%로서 현재까지 개발된 유기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태양전지 중에서 최고의 효율을 자랑하고 있다.


아울러 플라스틱이라는 점에서 휘거나 접을 수 있으며 제작비용이 저렴해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입을 수 있는 태양전지 등 기존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응용소자의 개발을 통해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붙임3> 참조].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과기부가 주관하는 국제공동연구사업인 글로벌 연구사업의 지원을 통해 이뤄졌다. 광주과기원 이광희 교수(교신저자)의 주도 하에 연구원 김진영 박사(제1저자)와 2000년도 노벨상 수상자인 미국 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SB) 알란 히거 (Alan J. Heeger)교수가 함께 일구어낸 성과다.


이광희 교수연구팀은 지난해에도 세계최초로 전기가 통하는 순수금속 특성의 플라스틱을 개발해 네이쳐(Nature)지에 논문을 발표했으며 추후에도 플라스틱 태양전지 분야에서의 추가적인 원천기술 확보가 유력시 되고 있다.


붙임1. 유기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태양전지란?

붙임2. 신개념의 적층형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원리

붙임3.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응용 예

붙임4. 이광희 교수 프로필

붙임5. 사진자료 및 설명



<붙임1> 유기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태양전지란?


유기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태양전지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모사한 “인공 광합성 소자”로서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고분자와 플러린()이라는 물질을 이용해 빛을 받아 전기를 만드는 장치이다[<그림 1> 참조].


이는 기존의 실리콘기반의 무기물 태양전지에 비해 값이 싸고 가볍고 제작공정이 간단해 차세대 저가형 태양전지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많은 원천기술의 개발이 기대되는 유망기술 분야이다. 


<붙임2> 신개념의 적층형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원리


이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서 기존의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한 스핀 코팅(용액상태에서 원심력을 이용한 박막형성 기술)만을 이용함으로써 태양전지의 제작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소자의 성능까지 크게 향상시켰다.


연구팀이 개발한 태양전지는 두 개의 태양전지가 적층형으로 쌓여있는 구조(이층 형태로 포개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같은 구조는 마치 건전지 두 개를 붙인 경우와 같이 태양전지의 출력전압을 두 배로 높이는 결과를 보여 단일 구조의 태양전지에 비해 획기적인 성능향상을 가져왔다.


또 두 개의 태양전지는 각각 서로 다른 빛의 영역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돼 있어 태양 빛의 일부만을 흡수하던 기존의 태양전지와는 달리 가시광과 적외선영역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태양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에 따라 기존의 태양전지에 비해 많은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그림 2> 참조].



<붙임3>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응용 예  
  -첨부파일 참조

<붙임4> 이광희(1960년 출생) 교수 프로필


  -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사(1983) / 카이스트 물리학과 석사(1985)

  - 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학 물리학 박사(1995)

  - Tel: 062-970-2325, 2345 / E-Mail: klee@gist.ac.kr


<붙임5> 사진자료


<사진설명 : 이광희 교수팀이 제작한 플라스틱 태양전지로 시계를 구동하고 있다.>

*** 그림과 사진은 첨부한 보도자료원본을 참조하세요.

<언론보도현황>
- 연합뉴스, 조선일보 1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경향신문, 한겨레, 서울신문, 국민일보, 한국경제, 매일경제, 전자신문, 디지털타임스, 노컷뉴스, 이데일리, 아시아경제, 팍스넷, 머니투데이, ebn뉴스, 내일신문
-  KBS, MBC 12:00, 21:00(뉴스데스크), SBS, YTN, MBN
- 광주일보, 광주매일신문, 전남일보, 광남일보, 남도일보, 광주KBC, 부산일보

<언론 추가 보도 현황>
- 어린이동아, 국정브리핑, 서울경제, 문화일보, 한경, 사이언스타임스, 헤럴드생생경제, 아이뉴스24, 한국경제(18일인터넷판 주가관련기사 2개)
- 무등일보 

- 한국경제 20일자 - 햇빛으로 디카, 핸드폰 충전

콘텐츠담당 : 대외협력팀(T.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