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 GIST(광주과학기술원, 총장 문승현)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40대 과학자 3명이 최근 세계적인 학술정보서비스 기업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前 톰슨로이터 지적재산 및 과학분야 사업부)가 발표한‘2017년 연구성과 세계 상위 1% 연구자(HCRㆍHighly Cited Researcher)’에 선정됐다.
∘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2014년부터 4년째 전 세계 과학과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이 발표한 논문의 피인용 횟수를 분석해 상위 1% 연구자를 발표하고 있다.
∘ HCR 명단은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꼽히는 '웹 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를 기반으로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1년 간 작성된 13만건 이상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다.
□ 총 3300명의 세계‘상위 1% 연구자’ 중 국내에서 활동하는 연구자 30명(한국인 28명, 외국인 2명)이 이번 발표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이슬기(40) 교수, 성균관대 박재형(43)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광명(47) 단장 등 GIST 동문 3명이 약리학·독성학 분야의‘세계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됐다. 특히 박재형 동문과 김광명 동문은 작년이 이어 올해도 HCR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 이들은 모두 GIST 신소재공학과(現 신소재공학부)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은 40대 국내파 연구자로, 국내외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거두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 왼쪽부터 차례로 이슬기 동문, 박재형 동문, 김광명 동문
□ 이슬기 교수는 성균관대 학부에서 고분자공학을 전공하고 광주과학기술원 석사(2002년 卒) 및 박사(2006년 卒)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탠포드의대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2012년 존스홉킨스의대 교수로 부임했다.
∘ 특히 이 교수는 최연소 한국인 HCR 연구자로 선정되었으며, 신약개발 관련 연구분야에서 13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 또한 2010년 미 국립보건원(NIH)이 과학발전에 큰 기여를 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젊은 과학자에게 수여하는‘패스웨이 인디펜던스 어워드(the pathway to independence award)’를 수상하기도 했다.
□ 박재형 교수는 광주과학기술원 석사과정(1998년 卒)을 거쳐 박사학위(2002년 卒)를 받은 뒤, 미국 퍼듀 대학교(Purdue Univ.) 박사후 연구원과 경희대 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박 교수는 항암제 같은 기존 치료제의 효율성을 높이는 나노기술 등을 연구하며 지난 5년간 ACS 나노(ACS Nano) 등 저명 학술지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급 논문 80여 편을 발표했다.
∘ 또한 연구 결과가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미래창조과학부)’에 선정되는 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꾸준하고 창의적 연구를 기반으로 2015년 이후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에서 발표한 '세계 1% 연구자'로 연속해서 선정된 바 있다.
□ KIST 의공학연구소에서 분자 및 세포 이미징, 질병 진단 이미징 등을 연구하고 있는 김광명 테라그노시스연구단 단장은 광주과학기술원에서 1999년 석사 및 2003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톰슨 로이터가 2014년 발표한‘최소 300번 이상 인용된 논문을 낸 한국 과학자(2002~2012)’18명의 명단에도 포함되는 등 세계적 수준의 국내 연구자로 이름을 알려 왔다.
∘ 김광명 단장은 최근 5년간 주저자 및 교신저자로 1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나노메디슨 연구 분야에서 저명하다. 현재까지 인용횟수 1만여 회에 이르며 2014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선정한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열(熱)로 암을 치료하는‘광열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금 나노입자 사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암 진단치료를 위한 융합단백질 나노입자 개발’연구성과가 선정되어 주목받기도 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