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People

김영준 총장, 조선일보 기고 - <초미세먼지 재앙, "지구공학적 해법" 시도하자>

  • 이석호
  • 등록일 : 2014.03.21
  • 조회수 : 1938

 

 

 

 

초미세먼지 재앙, 지구공학적 해법시도하자

 

 

김영준 총장

 

 


WHO 지정 "發癌물질" 해악은 지구 기후변화 비춰 시작일 뿐
전 국민에 흡연 강제하는 위력… "국가 재난" 차원에서 대처해야
스프링클러·인공 입자 新기술, 동북아 관련국 공동 연구하길

 

 

  머리카락의 30분의 1 굵기도 안 되는 초미세먼지(PM 2.5)가 요즘 온 나라를 뒤덮곤 한다. 초미세 먼지는 각종 공해 물질과 중금속의 집합체다.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폐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공식 지정되었다.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새로운 환경문제로 우리 속 깊이 이미 파고들었다. 황사와 또 다르게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제거하기가 쉽지 않으니 심각성이 보통이 아니다.

 

  한반도가 봄마다 찾아오는 황사를 비롯해 연중 중국의 대기오염 영향권에 든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유독 올해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고농도의 초미세먼지까지 반복적으로 엄습해오고 있다. 중국의 오염 배출량이 갑자기 증가한 것도 아닌데 왜 이처럼 미세 먼지 주의보가 자주 울리는가. 이는 북반구 제트기류의 패턴이 변화하면서 미국 동부는 한파와 폭설, 동북아는 온화한 겨울로 나타나는 기후변화와 관련 있다. 즉 북풍이 약해져 중국 대도시의 대기오염 물질이 며칠씩 쌓여 있다가 서해안에 형성된 고기압의 영향으로 올겨울 따뜻했던 한반도로 유입되는 것이다.

 

  범지구적 기후변화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올해 한반도를 강타한 초미세먼지 국지 오염은 이제 시작이다. 오염이 예상보다 빨리 찾아온 만큼 정부의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마치 전 국민에게 강제로 담배를 피우게 하는 정도의 강렬한 인재(人災)여서 국가 재난 차원의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된다.

 

  정부는 미세 먼지 예보제를 실시하고 단기적으로는 그 정확도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하지만 예보만으로는 근본 해결책이 못 된다. 초미세먼지는 다양한 오염원에 의해 발생되고 대기 중에서 변환된 많은 유해 화학물질과 집합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질량 농도 정보 제공을 넘어 발생원별 물리·화학적 성분 특성에 따른 위해도에 대한 더 과학적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 초미세먼지가 광범위하게 국경을 넘나드는 동북아 공동의 환경문제라는 점에서 관련국 간의 근본적인 근절 대책 협의도 함께 서둘러야 한다. 평소에도 한반도 초미세먼지 농도가 이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는 점, 중국을 가해자로만 보는 태도로는 함께 협력의 물꼬를 트기 어려운 점 등을 감안할 때 국가 간에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는 현실적 접점과 대안을 함께 찾아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세계 각국이 이산화탄소 저감(低減)을 위해 최근 새롭게 시도하는 지구공학(GEO-engineering)적 해결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세계 각국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공동으로 줄이기 위한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각국의 에너지 사용 감소와 정치·경제적 이유로 쉽게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자 최근에는 방출된 온실가스를 공학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기술 개발로 선진국들이 눈길을 돌리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먹는 인공나무 개발, 태양 반사 장치, 인공 구름입자 생성을 통한 태양에너지 반사 등이다.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동북아 국가들도 지구공학적 공동 대응에 나서 보면 어떨까. 고층 빌딩에서 작은 물 입자를 뿌려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를 줄이는 첨단 스프링클러 시스템이나 인공 입자를 사용해 농도를 저감시키는 등 지구공학적 해법을 공동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서로 "네 탓"만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공동의 재앙에 대해 정부와 과학자들이 공동 연구하고 과학기술적 협력을 이뤄 현실적 대안을 찾는 것이 지름길이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배출된 미세 먼지를 대규모로 제거하는 지구공학적 신기술 개발은 서로 얼굴 붉힐 필요 없이 더 쉽게 공동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

 

 

김영준 GIST 총장(2014년 3월 11일자)

콘텐츠담당 : 대외협력팀(T.2024)